[보도자료](기사) 종로구 『종로주얼리포럼 2023』 성황리에 마쳐

2023-11-27
조회수 850

종로구 『종로주얼리포럼 2023』 성황리에 마쳐


-

2023.11.27



- 11월 14일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종로주얼리포럼 2023』 성료

- 종로구 주최,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및 (사)한국귀금속단체장협의회 공동주관

- 1부 주제발표 ▲골드트렌드 2023 ▲한국 금시장의 현실 ▲금시장의 디지털 대전환

- 2부 이슈토크쇼 “변화하는 골드시장, 위협인가 기회인가?”


▲종로주얼리포럼 2023 인사말 및 축사. 사진=종로구


종로구에서 지난 11월 14일 오후 서울글로벌센터에서 개최한 『종로주얼리포럼 2023(Jongno Jewelry Forum 2023)』이 각계각층의 산업관계자가 모인 가운데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다. 이번 행사는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이하 월곡재단)과 (사)한국귀금속단체장협의회(이하 단협)가 공동 주관하고 종로구에서 주최하는 최초의 ‘산업 포럼’인 만큼 개최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그 첫 번째 주제는 주얼리 원자재 중에서 수요가 가장 큰 금이다. 금은 최근 짙어진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불안 때문에 안전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전예약제로 실시된 이번 행사는 정원(140 명)을 초과한 156명이 참여하면서 현재 금시장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뜨거운지 보여주었다. 종로구 정문헌 구청장의 인사말과 단협 오효근 회장의 축사로 시작된 종로주얼리포럼 2023은 ‘1부 주제발표’와 ‘2부 이슈토크쇼’로 구성되었으며 총 2시간 30분가량 진행됐다.


▲종로주얼리포럼 2023 1부 1주제 발표. 사진=종로구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 리서치센터 박세헌 선임연구원은 1부 첫 번째 주제 발표로 <골드 트렌드 2023 – 골드 트렌드를 읽어야 하는 이유>를 발표했다. 최근 급등하는 금의 수요를 거시경제 요인과 제한된 매장량을 들어 설명한 그는 이어 국내 소비 트렌드 변화와 관측되는 주얼리 산업의 위기, 최근 시도되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명암을 차례차례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그는 ‘안전자산인 금의 가치’와 ‘장신구로서의 부가가치’의 시너지(synergy·상승효과)를 이용해 소비시장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는 (사)한국귀금속판매업중앙회의 차민규 전무이사가 <불편한 진실 - 우리 금시장의 현실>을 주제로 국내 ‘관련 법과 제도의 파행’ 그리고 ‘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마지막은 (주)한국금거래소 김종인 총괄사장이 '금시장의 디지털 대전환'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국내 소비자’와 ‘비즈니스 패러다임’(paradigm·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의 집합체)에 대한 변화를 설명하면서 디지털 전환은 고객 편의성을 우선해야 하며 고객 데이터 확보가 디지털 전환시대에 가장 핵심적인 비지니스 전략임을 강조했다.


 ▲종로주얼리포럼 2023 2부 이슈토크쇼. 사진=종로구


2부 이슈토크쇼는 서울주얼리지원센터 남경주 센터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해당 토크쇼는 (사)한국금협회 유동수 회장, 서울귀금속제조협동조합 이경숙 이사장, (주)삼성금거래소 이남석 이사, 수앤진골드 김원구 대표,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의 온현성 소장이 패널로 참석해 ▲금시장 동향, ▲현황과 도전, ▲애로사항과 한계, ▲향후 전략 및 제안 등을 주제로 약 50분간 진행됐다. 해당 토크쇼는 최근 급변하는 금시장의 흐름에서 각계각층의 어려움 및 한계점을 논했고 향후 국내 금시장의 성장 동력으로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면서 마무리됐다.


▲종로주얼리포럼 2023. 사진=종로구


한편, 종로구가 주최한 『종로주얼리포럼』은 연례 화가 확실시될 경우 매년 다양한 주얼리 산업의 이슈를 다루는 포럼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앞서 종로구는 지역 산업인 주얼리의 판로 개척을 지원하기 위해 ‘2023 레츠종로’의 일환으로 'K-주얼리 종로 페스티벌'을 개최해 브랜드 팝업스토어, 감정 및 런웨이 쇼 등을 선보이며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뉴스레터 '월콕'을 받아보세요!

(03132)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32길 36 운현신화타워 404호
월곡재단  TEL : 02-747-1859 / FAX : 02-747-1860

월곡연구소  TEL : 02-747-1858
wjf.contact@gmail.com


COPYRIGHT ⓒ 2021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All rights reserved.

(03132)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32길 36 운현신화타워 404호
월곡재단   TEL : 02-747-1859 / FAX : 02-747-1860  |  월곡연구소   TEL : 02-747-1858

wjf.contact@gmail.com

COPYRIGHT ⓒ 2021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All rights reserved.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뉴스레터 '월콕'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