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보도) 금값 폭등, 합리적인 주얼리 소비 트렌드는?

2025-03-11
조회수 195

금값 폭등, 합리적인 주얼리 소비 트렌드는?


세계비즈(최정서 기자), 2025.02.14




[사진=월곡연구소 제공]



최근 금값이 폭등하면서 주얼리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월곡연구소의 2023년 조사에 따르면 100만원 이상의 고가 주얼리 구매율이 16%에 달하지만, 19만원 미만의 주얼리가 23.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소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월곡연구소의 2024년 패션주얼리 소비자 조사에 의하면 패션주얼리의 구매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평균 구매 가격과 개수는 소폭 증가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단순한 저가 제품보다 디자인과 스타일을 고려한 선택을 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무조건 저렴한 제품을 찾기보다 가격 대비 높은 가치와 개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소비자들은 보다 합리적인 대안을 고민하고 있으며, 패션주얼리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주얼리 구매 시 자주 접하는 용어인 14K, 14KGF, 14KGP. 하지만 이를 정확히 구분하는 소비자는 많지 않다. 특히 제품 소재 표기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소비자들이 도금 제품을 14K로 오해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일부 업체에서는 명확한 설명 없이 제품을 ‘골드’로만 표기하거나, 도금 제품을 14K로 혼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홍보해 소비자 불만을 초래하기도 한다.

 

14K(14 Karat Gold)는 순금 함량이 58.5%인 합금으로, 변색이 적고 알레르기 반응이 적어 고급 주얼리 소재로 사용된다. 이에 비해 14KGP(14K Gold Plated)는 금속 표면에 얇은 금층을 입힌 도금 제품으로, 비교적 저렴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변색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14KGF(14K Gold Filled)는 도금과 달리 베이스 메탈 위에 14K 금을 일정 두께 이상 압착한 소재다. 미국 주얼리 상거래 위원회 기준에 따르면, 14KGF는 최소 2.62% 이상의 금 함량을 포함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5% 내외의 금이 사용된다.

 

14KGF와 14K는 제조 방식과 금 함량에서 차이가 있다. 14K는 전체 금속의 58.5%가 순금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일반적으로 고급 주얼리에 사용된다. 반면, 14KGF는 베이스 메탈 위에 14K 금을 일정 두께 이상 압착한 소재로, 전체 중량의 약 5~20%가 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4KGF는 일반적으로 패션주얼리로 분류되며, 도금보다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14K 주얼리와는 구별되는 소재다.

 

14KGF와 14KGP는 같은 도금 방식으로 오해받기 쉬우나, 두 소재는 제작 방식과 내구성에서 큰 차이가 있다. 14KGP는 금속 표면에 얇은 14K 금을 전기 도금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금층이 얇아 시간이 지나면서 쉽게 벗겨지고 변색될 수 있다. 반면, 14KGF는 베이스 메탈 위에 일정 두께 이상의 14K 금을 강한 열과 압력을 이용해 결합한 것으로, 금층이 두꺼워 일반적인 도금 제품보다 내구성이 훨씬 뛰어나다. 즉, 14KGF는 단순한 표면 코팅이 아니라 일정 비율 이상의 14K 금이 포함된 소재로, 적절한 관리만 하면 오랜 기간 금 특유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주얼리를 구매할 때 단순히 가격이나 브랜드만 고려하기보다, 소재의 특성과 내구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4K는 내구성과 변색 방지 측면에서 우수하며, 14KGF는 가성비와 내구성을 겸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반면, 트렌디한 디자인을 부담 없이 즐기고 싶다면 14KGP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뉴스레터 '월콕'을 받아보세요!

(03132)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32길 36 운현신화타워 404호
월곡재단  TEL : 02-747-1859 / FAX : 02-747-1860

월곡연구소  TEL : 02-747-1858
wjf.contact@gmail.com


COPYRIGHT ⓒ 2021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All rights reserved.

(03132)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32길 36 운현신화타워 404호
월곡재단   TEL : 02-747-1859 / FAX : 02-747-1860  |  월곡연구소   TEL : 02-747-1858

wjf.contact@gmail.com

COPYRIGHT ⓒ 2021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All rights reserved.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뉴스레터 '월콕'을 받아보세요!